본문 바로가기

리틀사이공/음식

(165)
분 더우 맘 똠 (Bún đậu mắm tôm)의 과거와 현재 분 더우 맘 똠은 말 그대로 쌀국수 (분 Bún), 두부 (더우 đậu), 베트남식 새우젓 (맘똠 mắm tôm)이 들어가는 하노이 고유의 요리입니다. 이전 포스팅 에서 소개했지만 처음 하노이의 노동자들의 음식에서 시작한 이 요리는 맛이 있는 관계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서 오늘에 이릅니다. 초창기의 모습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어떻게 분 더우 맘 똠이 발전해왔는지 정리해봅니다. 초기 하노이 분 더우 (Bún đậu Hà Nội) 초기 하노이 분 더우는 단순하게 쌀국수(분), 튀긴 두부 그리고 새우젓(맘똠)으로만 구성되었습니다. 새우젓에 라임쥬스, 백주, 약간의 설탕 정도를 넣어서 맛을 부드럽게 해서 두부와 국수를 찍어 먹었습니다. 두부는 모(Mơ) 마을에서 만든 것이 가장 맛있는데, 이 곳에서는 특별한 콩을..
프랑스의 영향 받은 베트남 소고기 요리 2가지 베트남에는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음식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 소고기 요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원래 프랑스식 소고기 요리가 베트남으로 유입되면서 베트남 남쪽과 북쪽에서 자신들의 방식으로 변형시킨 2가지 요리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둘 다 개인적으로 좋아라 하는 요리들이죠. 호치민시나 하노이를 방문하신다면 시도해보세요. 갈비찜 좋아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좋아하실 겁니다. 먼저 북쪽 하노이 스타일부터 시작합니다. 보 솟 방 하노이 (Bò sốt vang Hà Nội) 프랑스식으로 와인소스를 이용한 소고기 요리를 라구 드 뵈프 오 방 (ragoût de bœuf au vin, 발음이 이게 맞나 -_-;;;) 이라고 합니다. 프랑스 사람들은 많은 육류를 와인을 이용해 요리하는데 이 때 오 방 (au..
쿰쿰한 베트남 전골요리 러우맘(Lẩu Mắm) 오늘 소개하는 베트남 요리는 러우맘(Lẩu Mắm) 입니다. 러우맘이라는 말은 젓갈로 만든 전골이라는 뜻이죠. 이 요리는 안지앙(An Giang)성의 쩌우독(Châu Đốc)시가 원산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가난한 사람들의 요리로 맘까(Mắm Cá)라고 불리는 생선젓을 이용한 남부 베트남의 음식입니다. 예전에 남쪽 사람들이 생선을 잡아서 먹고 남은 녀석들을 이용해서 생선젓을 만들었습니다. 보통 메기류 등이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맘(Mắm)이라고 불리는 액젓이라기 보다는 페이스트 같은 느낌의 젓갈로 만드는 법은, 우선 생선에 소금을 치고 항아리에 넣은 다음 밀봉을 해서 한 달 동안 시원한 곳에 보관합니다. 한 달이 지나면 생선이 분해되면서 발효하여 페이스트가 되고 일부는 원래 생선의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상추를 베트남 말로 (Rau xà lác) 언젠가 이 블로그에서 이야기했었던 것 같은데, 외국 살면서 이런저런 어려움이 있지만 언어가 제일 큽니다. 그 중에서 의외로 어려운 것이 음식관련 단어들이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는 우리나라 상추나 양배추에 해당되는 주로 샐러드나 쌈 용도 야채들의 베트남어를 정리해봤습니다. 베트남 말로 상추는 라우 싸 락 (Rau xà lác)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라우(Rau)는 채소에 붙는 접두어입니다. 아래 이름에 보통 라우라는 말을 붙여주면 더 잘 알아 듣습니다. 아래는 제가 가진 지식으로 정리한 내용이니 혹시 잘못된 것 있으면 알려주세요. 청상추 (Xà lách lá sồi xanh, 싸 락 라 소이 싼) 네 우리나라 청상추에 해당되는 녀석입니다. 왠지 100% 같다고 하기에는 차이가 있지만 그 녀석이죠. (미묘..
메콩 기원의 쿰쿰한 국수 분맘 (Bún Mắm) 베트남을 떠나서 산지 꽤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문득문득 베트남 음식이 떠오르는 때가 있습니다. 오늘도 아침에 일어나서 진라면을 끓이고 있는데, 문득 분맘 (Bún Mắm)이 떠올랐습니다. 라면을 먹으면서 뭐랄까 덜 뜨거운 그 정도 온도의 국물에 쿰쿰한 향기와 맛이 나는 국수가 먹고 싶어지네요. 그래서 한 번 소개해 봅니다. 오늘 소개하는 분맘(Bún Mắm)은 원래는 메콩강 하구의 지방인 속짱(Sóc Trăng)에서 기원한 국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뭐 메콩강하면 떠오르는 쌀, 그러니까 베트남 남부 곡창지대의 쌀로 만든 쌀국수인 분(Bún)을 다시 메콩강하면 왠지 많이 있을 것 같은 생선을 잡에서 발효시킨 젓갈인 맘(Mắm)을 넣어 만든 국물에 말아서 먹는 녀석입니다. 물론 국물에는 타마린, 각종 ..
베트남 국수 미엔(Miến)으로 만드는 간단 요리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를 했던 것처럼 베트남에는 다양한 면들이 있습니다 (포스팅). 오늘은 이 중에선 미엔(Miến)을 이용한 아주 간단한 요리 레시피를 공유합니다. 네네, 정식버젼이라기 보다는 집에서 해먹는 버젼으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간단하니 집에서 한 번 해보세요. 미엔은 우리나라 잡채를 만드는 당면과 아주 유사합니다. 다만 당면처럼 끌이지 않고 물에 불려서 사용합니다. 미엔 싸오 꾸아 (Miến xào cua, 게살 볶음면) 재료: 쌀국수 (그러니까 미엔) 150g, 게살 200g, 당근 40g, 숙주 50g, 베트남 액젓 1스푼, 베트남 간장 1스푼, 물 1스푼, 설탕 1 작은술, 라임 혹은 레몬쥬스 1 작은술, 다진 마늘 2쪽, 양파(붉은 양파 선호), 쪽파, 식용류 만드는 방법: 쌀..
베트남 남부 설음식 반뗏 (bánh tét) 지난 포스팅에서 주로 북쪽에서 설에 먹는 반쭝(bánh chưng)을 만드는 라종(lá dong) 이야기를 했습니다. 설날을 맞이해서 예전 살던 호치민시를 떠올리면서 남쪽에서 설에 만드는 반뗏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일단은 정리 차원에서 보자면, 베트남 북쪽에서는 주로 반쭝(Bánh chưng)과 반자이(bánh giầy)를 해먹습니다. 자 그리고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인 반뗏(bánh tét)은 베트남 중부와 남부에서 주로 먹는 녀석입니다. 반뗏은 외국인의 시각으로 보기에 반쭝과 거의 비슷한데 (고기가 반쭝에 비해 적은 경향이 있죠), 가장 큰 차이는 반쭝이 네모나다면 반뗏은 원통형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겉을 싸는 잎도 라종이 아니라 바나나잎을 사용합니다. 반뗏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
베트남 떡 반득(Bánh đúc) 그리고 남과 북 베트남에는 수 많은 간식거리가 있습니다. 그 중에 반득(Bánh đúc)이라는 것이 있는데, 베트남 말로 반(Bánh)은 떡 혹은 빵을 말합니다. 암튼 저는 지금까지 반득은 이렇게 생긴 것을 말하는 줄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대충 우리 떡보다 약간 덜 쫀득한 느낌에 새우말린 것이나 달콤한 시럽을 얹어서 먹는 녀석이었죠. 그러니까 맵쌀로 만드는 이 떡에는 판단잎이 들어가는 녀석입니다. 그런데 오늘 알아낸 바로는 북쪽에서 반득은 다르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북쪽식 반득은 맵쌀이나 옥수수를 이용해서 만들고, 돼지고기 간 것이나 간 새우 (똠차이 tôm chấy라고 합니다), 튀긴 양파, 땅콩이 올라가고 여기에 라임쥬스, 간장이나 액젓을 얹어서 먹는 스타일이라고 하네요. 그러니까 북쪽 스타일은 약간 식사용인..
베트남 바나나 종류 오늘 바나나를 우물거리다가 (네네, 집에 바나나가 떨어지는 일이 거의 없죠) 문득 베트남에서 즐거 먹던 바나나가 생각났습니다. 통통하고 얇은 껍질을 가진 녀석의 맛이 그립네요. 예전에 베트남 망고 종류를 소개했던 포스팅이 있었는데, 그 포스팅에 이어서 베트남 바나나 종류를 한 번 소개해봅니다. 물론 개인적인 경험을 그리고 인터넷 정보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제한적이기는 합니다만 즐겁게 읽어주세요. (굽신굽신 -_-;;;;) 참고로 베트남 말로 바나나는 츄오이 (혹은 쭈오이 Chuối) 라고 합니다. 참고로 소개하는 순서는 제 주변에서 자주 보이는 순서입니다. 네네 개인 블로그랍니다. 1. 우리가 아는 그 바나나 쭈오이 띠우 (Chuối tiêu) 네 너무나 잘 아는 그 바나나를 베트남에서는 쭈오이 띠우라..
하노이 음식 하나 - 차 루오이 (chả rươi) 우리가 외국 친구들에게 뭔가 특별한 그러니까 녀석들이 당혹할만한 그런 한식을 사주고 싶은 것 처럼 (네네, 너무 극단적인 것은 우정에 금이 간답니다 -_-;;;), 베트남 친구들도 특히나 하노이 친구들은 '뭔가 스페셜' 한 것을 사주고 싶어하는 경향이 남쪽보다 셉니다. (뭐 적어도 제 주변 인간들은 말이져) 덕분에 이런저런 극단적인 음식들을 먹어봤는데, 오늘은 아마도 이 분류에 포함된는 하노이 음식 하나 소개합니다. 음식이라기 보다는 일종에 스트리트 푸드라고나 할까요. 하노이 구시가쪽에 있는 가게에서도 판매를 하는 나름 하노이 스트리트 푸드입니다. 그리고 막상 먹어보면 나름 맛이 괜찮답니다. 이 음식의 이름은 차 루오이 (chả rươi) 입니다. 차(chả)는 우리나라의 어묵에 해당되는 것으로, 생선살..
베트남 호치민시 까오 탕(Cao Thắng) 거리 맛집들 어제 베트남 호치민시에서 요사이 뜬다는 길거리 음식을 소개했는데, 지인의 새로운 증언에 의하면 요사이 호치민시 3군에 있는 까오 탕 (Cao Thắng) 거리에 맛집들이 뜨고 있다고 합니다. 관광지가 몰려있는 1군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죠. 대표적인 맛집들을 소개해 봅니다. 네네, 제가 직접 가서 먹고 사진도 올리겠다는 행복한 미래 계획도 세워보면서 말이죠. 차오 띠우 - 꼬 웃 (Cháo Tiều - Cô Út) 70년이 넘은 이 집은 띠우 스타일 (이게 뭐지?)의 죽을 파는 곳입니다. - 주소 : 33 Cao Thắng, Phường 2, Quận 3, Thành phố Hồ Chí Minh, Vietnam 죽에는 뼈가 붙어있는 돼지고기, 심장, 계란, 미트볼 등등이 올라가는데, 이 집은 뼈육수로 ..
요사이 호치민시에서 유행하는 길거리 음식 코로나 바이러스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관계로 '언젠가 호치민에 휴가를 가서 일주일 동안 빈둥대면서 맛있는 베트남 음식들을 즐기겠다' 라는 얼마 전까지는 그리 어렵지는 않았던 계획이 이제는 뭐랄까 꿈의 계획화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각종 베트남 음식들이 그리워진 상태죠. 얼마 전에 베트남 친구하고 채팅을 하다가 "아아, 한 일주일 놀러가고프네" "저도 한국 가고 시퍼여" "호치민에서 이것저것 먹고프다고" "아아 미스터킴 요사이 호치민에서 새로 뜨는 음식들이 있는데 미스터킴도 좋아라 할거에요" 라고 하면서 알려준 음식과 인터넷에서 찾은 요사이 호치민시에서 유행하는 길거리 음식을 소개해봅니다. 언젠가 호치민 가면 시도해볼 것이기도 하고, 대리만족이랄까 뭐 그런 의미의 포스팅입니다. 사진들은 인터넷에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