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1955년에 당시 사이공이었던 현재 호치민시 거리 이름들을 대대적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이 때 프랑스 식민시절 동안 붙여졌던 프랑스식 도로명들을 베트남식으로 변경한 것이죠.
이 후 1975년 남북 베트남의 통일 이후에 추가로 통일정부의 정책에 맞게 일부 수정됩니다.
베트남의 거리 이름들은 베트남의 유명한 위인들이나 기념비적 사건 (8월혁명, 2월3일 혁명 등등)을 따라서 명명됩니다.
이런 역사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일부 거리들은 현재까지도 외국인들의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이 거리들에 대한 것입니다.
파스터 (Pasteur)
우리식으로 읽으면 파스퇴르가 되지만 베트남 사람들은 파스터 (혹은 빠스터)라고 부르는 이 거리는 1군의 보반키엣(Vo Van Kiet) 거리에서 3군의 쩐꿕또안(Tran Quoc Toan) 거리까지 약 1.9km 길이로 뻗어 있는 도로입니다.
파스터라는 이름은 당시 이 거리에 파스퇴르 연구소가 도로 옆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었고, 이후 정권이 바뀌어도 계속 유지되었습니다.
이 거리는 미생물학 연구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세계 최초의 항생제를 발명한 프랑스 의사 루이 파스퇴르(1822-1895)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1891년 파스퇴르가 의견을 내서 프랑스 파리에 있는 본 연구소의 첫 번째 분소로 당시 사이공에 파스퇴르 연구소가 설립되었습니다.
소위 백신의 아버지로 불리는 파스퇴르에 대한 존경을 담아 1955년에 수백 개의 프랑스식 거리 이름이 바뀌는 상황에도 파스터 거리는 이름을 유지하게 됩니다.
깔멧 (Calmette)
칼멧 거리는 벤 쭈엉 즈엉(Ben Chuong Duong)에서 깔멧 다리(Calmette Bridge) 바로 옆에서 쩐 흥 다오 (Tran Hung Dao)거리까지 이어는 거리입니다.
이 거리의 이름은 프랑스 의사이자 세균학자이며 면역학자였던 알베르 깔멧(Albert Calmette, 1863-1933)의 이름을 딴 사이공에서 가장 오래된 거리 중 하나입니다.
그는 루이 파스퇴르의 제자였으며, 1891년 베트남 최초의 파스퇴르 연구소를 설립하고 운영했습니다 (아아- 그런 것이었군요).
사이공에 도착한지 3년도 채 되지 않아 그는 의료연구 시설을 건설하고 기술 향상을 통해 진단 검사를 시행하고 천연두 백신, 광견병 백신, 열대성 질병 연구, 와인 효모 제조, 항코브라 독 혈청 생산 등 상당한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사이공의 프랑스인들은 칼메트 거리와 칼메트 다리를 포함한 여러 장소에 그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칼메트가 인도차이나에 최초의 파스퇴르 연구소를 설립한 군 병원. 현재는 제2어린이병원(Bệnh viện Nhi Đồng 2)입니다.
예르신 (Yersin)
호치민시 1군 꺼우 옹 란(Cau Ong Lanh)구에 위치한 예르신 (Yersin) 거리는 보 반 키엣(Vo Van Kiet) 거리와 팜 우 라오(Pham Ngu Lao) 거리를 연결하는 도로가 예르신 거리입니다.
알렉상드르 예르신(Alexandre Yersin, 1863-1943)은 스위스계 프랑스인 의사, 세균학자, 탐험가였습니다.
그는 람비엔 고원(Lam Vien plateau)을 발견하고 중부 베트남에서 캄보디아까지 육로를 지도에 표시했습니다.
예르신은 또한 하노이 의대의 전신인 인도차이나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했습니다.
1891년 냐짱(Nha Trang)에 도착한 예르신은 이 땅에 매료되어 이곳에 정착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는 주민들과 가까이 살면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 진료와 치료를 자주 제공했습니다.
2014년, 알렉상드르 예르신은 탄생 151주년을 맞아 "베트남 명예 시민권"을 수여받았습니다.
이렇게 베트남과 베트남 사람들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직도 그의 이름이 거리명으로 남아있습니다.
버트란드 러셀 (Bertrand Russell)
호치민에서 한국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7군 푸미훙(Phu Min Hung)에 위치한 버트런드 러셀 (Bertrand Russell) 거리는 반달호수 (호 반 우엣, Hồ bán nguyệt) 인근에 있습니다.
버트런드 러셀(1872-1970)은 20세기 영국의 저명한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작가였습니다.
이 사람 이름의 거리가 생긴 이유는 베트남 전쟁 당시 그는 미국의 남베트남 개입에 적극적으로 반대했기 때문입니다.
1963년, 91세의 나이에 그는 미국이 베트남에서 네이팜탄을 사용하여 대량 학살을 자행했다고 비판하는 국제 서한을 보냈습니다.
동시에 그는 버트런드 러셀 평화 기구(Bertrand Russell Peace Organization)를 설립하여 폭탄으로 파괴된 학교, 병원, 교회 등 베트남의 잔혹한 모습을 전시했습니다.
거의 100세가 된 그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인정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위해 영국으로 돌아왔고, 그의 작품은 특히 비틀즈를 비롯한 당시 젊은이들의 찬사를 받았다고 합니다.
루터 킹 (Luther King)
버트런드 러셀 거리 근처, 반달호수를 따라 루터 킹 거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거리는 유명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민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29-1968)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는 1967년 4월 4일 리버사이드 교회에서 "베트남을 넘어 - 침묵을 깨뜨릴 시간(Beyond Vietnam - A Time to Break Silence)"이라는 혁명적 연설을 통해 베트남 전쟁을 규탄하고 전쟁이 미국의 빈민과 베트남 농민 모두에게 미친 해로운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그의 연설과 운동에 대한 대중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킹은 도덕적, 경제적 이유로 베트남 전쟁을 계속 공격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업적을 기려 루터 킹 거리가 푸미흥에 있습니다.
결국 베트남에 많은 기여를 했던 외국인들의 이름이 거리가 되어 남아있네요.
파스터 거리에 잘 다니던 음식점들이 기억나네요.
'리틀사이공 > 호치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트러스 키의 1885년 사이공과 그 주변지역의 역사적 기억 (6) (6) | 2025.06.01 |
---|---|
페트러스 키의 1885년 사이공과 그 주변지역의 역사적 기억 (5) (6) | 2025.06.01 |
페트러스 키의 1885년 사이공과 그 주변지역의 역사적 기억 (4) (2) | 2025.05.31 |
페트러스 키의 1885년 사이공과 그 주변지역의 역사적 기억 (3) (2) | 2025.05.31 |
페트러스 키의 1885년 사이공과 그 주변지역의 역사적 기억 (2) (0) | 2025.05.31 |